웃는 남자 (1928년 영화)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웃는 남자》(1928년)는 빅토르 위고의 소설을 원작으로 한 미국의 무성 공포 영화이다. 17세기 영국을 배경으로, 콤프라치코스에 의해 영원히 웃는 얼굴을 갖게 된 그윈플레인의 비극적인 삶을 그린다. 이 영화는 파울 레니가 감독하고 콘라트 파이트, 메리 필빈 등이 출연했으며, 표현주의적 세트 디자인과 분장, 특히 조커 캐릭터에 영감을 준 그윈플레인의 기괴한 미소로 유명하다. 개봉 당시에는 평가가 엇갈렸지만, 시간이 지나면서 재평가받아 독일 무성 영화의 걸작으로 인정받았으며, 유니버설 클래식 몬스터 영화와 조커 캐릭터에 큰 영향을 미쳤다.
2. 줄거리
17세기 후반 영국, 궁정 광대 바킬페드로는 망명 귀족 클랜찰리 경의 체포 소식을 제임스 2세 국왕에게 전한다. 클랜찰리 경은 어린 아들 그윈플레인을 데려오기 위해 돌아왔지만, 왕은 콤프라치코스 외과 의사 하드콰논을 시켜 그의 얼굴에 영원히 웃는 듯한 끔찍한 상처를 새기게 한다. 클랜찰리 경은 결국 아이언 메이든에서 처형당한다.
이후 왕은 모든 콤프라치코스를 영국에서 추방하는 칙령을 내리고, 이들은 어린 그윈플레인을 눈보라 속에 버리고 떠난다. 홀로 남겨진 그윈플레인은 추위 속에서 떨다가, 얼어 죽은 어머니의 품에 안겨 있는 눈 먼 아기 데아를 발견한다. 두 아이는 마음씨 좋은 떠돌이 철학자이자 쇼맨인 우르수스와 그의 애완 늑대 호모에게 발견되어 보살핌을 받게 된다. 우르수스는 데아가 앞을 보지 못한다는 것을 알게 된다.
세월이 흘러 성인이 된 그윈플레인과 데아는 서로 깊이 사랑하게 된다. 그들은 우르수스가 만든 연극을 공연하며 유랑 생활을 이어간다. 그윈플레인의 기이한 미소는 '웃는 남자'라는 이름으로 사람들에게 큰 인기를 끌지만, 정작 그윈플레인 자신은 흉측한 외모 때문에 데아의 사랑을 받을 자격이 없다고 생각하며 괴로워한다.
어느 날, 사우스워크 박람회에서 공연하던 그윈플레인을 과거 그의 얼굴에 상처를 낸 하드콰논이 알아본다. 하드콰논은 클랜찰리 경의 영지를 차지하고 있는 조시아나 공작부인에게 그윈플레인이 살아있는 상속자임을 알리며 돈을 요구하는 편지를 바킬페드로에게 보낸다. 바킬페드로는 이 편지를 앤 여왕에게 보여주고, 하드콰논은 채텀 감옥으로 끌려가 고문을 당한다. 한편, 방탕한 생활을 하던 조시아나 공작부인은 우연히 그윈플레인의 공연을 보고 그의 기형적인 모습에 혐오감을 느끼면서도 기묘한 성적 매력을 느낀다. 그녀는 그윈플레인에게 비밀스러운 만남을 제안하는 쪽지를 보낸다.
데아에 대한 마음과 새로운 유혹 사이에서 갈등하던 그윈플레인은 결국 조시아나의 저택으로 향한다. 조시아나가 그를 유혹하려는 순간, 여왕의 명령이 전달된다. 그윈플레인이 클랜찰리 경의 정당한 상속자이며, 그의 영지를 차지하고 있는 조시아나와 결혼해야 한다는 것이었다. 조시아나는 이 상황을 비웃고, 모욕감을 느낀 그윈플레인은 저택을 뛰쳐나온다. 집으로 돌아온 그윈플레인은 잠든 데아의 손에 들린 조시아나의 쪽지를 발견하고 죄책감에 눈물을 흘린다. 잠에서 깬 데아는 그윈플레인의 미소를 처음으로 만져보며, 자신은 눈이 멀었기에 그의 진정한 내면을 볼 수 있다며 안심시킨다.
그러나 행복도 잠시, 경비병들이 들이닥쳐 그윈플레인을 체포하여 채텀 감옥으로 끌고 간다. 이후 감옥에서 하드콰논의 관이 나오는 것을 본 우르수스는 그윈플레인이 처형되었다고 오해한다. 바킬페드로는 우르수스에게 나타나 영국에서 추방되었음을 알리고, 그윈플레인이 죽었다는 거짓 정보로 데아를 충격에 빠뜨려 기절시킨다.
사실 그윈플레인은 처형된 것이 아니라 귀족 신분을 회복하고 귀족원에 들어갈 예정이었다. 다음 날, 바킬페드로에 의해 귀족원으로 소개식을 위해 런던으로 향하는 그윈플레인과 달리, 우르수스와 데아는 추방 명령에 따라 템스 강 부두로 향한다. 귀족원에 도착한 그윈플레인은 앤 여왕에게 소개되고 조시아나와의 결혼을 명령받지만, 다른 귀족들은 광대가 자신들의 일원이 된 것에 분노하며 조롱한다. 때마침 호모의 도움으로 귀족원에 도착한 데아는 바킬페드로에게 속아 다시 밖으로 끌려 나간다. 귀족들의 위선과 조롱에 분노한 그윈플레인은 여왕 앞에서 자신의 작위를 포기하고 공작 부인과의 결혼을 거부한다.
그윈플레인은 경비병들을 피해 거리로 뛰쳐나가 우르수스와 데아가 추방당한다는 사실을 알게 된다. 그는 마을 사람들의 도움으로 바킬페드로의 부하들을 따돌리고 부두로 달려간다. 그의 외침을 들은 늑대 호모가 배에서 뛰어내려 그를 돕고, 그윈플레인을 공격하려는 바킬페드로를 물어뜯는다. 마침내 배에 오른 그윈플레인은 우르수스, 데아와 재회하고, 세 사람은 함께 새로운 삶을 찾아 영국을 떠나 항해를 시작한다.
3. 등장인물
3. 1. 주요 등장인물
3. 2. 조연
다시 코리건,[2] 토르벤 마이어, 에드가 노턴, 닉 드 루이즈, 프랭크 풀리아, 찰스 퍼피를 포함하여 많은 무성 영화 시대의 중요한 배우들이 단역 또는 크레딧에 오르지 않은 역할로 출연했다. 저먼 셰퍼드인 짐보는 우르수스의 애완 늑대인 호모(이 이름은 라틴어 격언인 "인간은 인간에게 늑대다"를 이용한 말장난이다.) 역을 맡았다.
4. 제작
유니버설 픽처스는 빅토르 위고의 소설을 각색한 1923년 영화 《노트르담의 꼽추》의 성공에 힘입어, 같은 작가의 소설 《웃는 남자》를 영화화하려 했다. 처음에는 론 채니를 주연으로 기획했으나, 원작의 영화 판권 확보 문제 등으로 제작이 지연되면서 채니는 대신 1925년 《오페라의 유령》에 출연하게 되었다.
《오페라의 유령》이 큰 성공을 거두자, 유니버설의 사장 칼 래믈리는 다시 《웃는 남자》 프로젝트를 추진하여 유니버설의 차기 고딕 영화 대작으로 제작에 착수했다. 독일 출신의 파울 레니 감독이 연출을 맡았고, 역시 독일 출신 배우 콘라트 파이트가 주인공 그윈플레인 역에, 《오페라의 유령》에 출연했던 메리 필빈이 여주인공 데아 역에 캐스팅되었다. 찰스 D. 홀이 세트 디자인을, 잭 피어스가 그윈플레인의 독특한 분장을 담당하는 등 숙련된 제작진이 투입되었다. 그윈플레인이 귀족원에 소개되는 장면 촬영 중에는 엑스트라들이 콘라트 파이트의 연기에 감동하여 박수와 환호를 보냈다는 일화도 있다.[3]
유니버설은 이 영화의 제작에 당시 미국 영화로서는 매우 높은 예산인 100만달러 이상을 투자했다.[4][20]
4. 1. 기획 및 각색
유니버설 픽처스는 빅토르 위고 원작의 1923년 영화 《노트르담의 꼽추》가 성공하자, 주연 배우 론 채니와 함께 또 다른 위고 작품의 영화화를 기획했다. 초기에는 《오페라의 유령》 각색이 검토되었으나, 유니버설 경영진은 이를 받아들이지 않았다. 대신 채니에게 위고의 소설 《웃는 남자》의 영화화가 제안되었다. 이 소설은 1869년 출판되었으나 영국과 프랑스에서는 큰 호응을 얻지 못했으며, 위고의 작품 중 상대적으로 덜 성공한 작품으로 평가받았다. 하지만 이미 1908년 프랑스 파테에서 《L'Homme qui ritfra》라는 제목으로, 1921년 오스트리아의 올림픽-필름(Olympic-Film)에서 저예산 독일어 영화 《Das grinsende Gesicht》로 두 차례 영화화된 바 있었다.
그러나 유니버설은 프랑스 스튜디오 소시에테 제네랄 데 필름(Société Générale des Films)으로부터 원작의 영화 판권을 확보하는 데 실패했다. 이로 인해 채니와의 계약이 수정되었고, 대신 1925년 《오페라의 유령》이 제작되었다. 《오페라의 유령》이 성공을 거두자, 유니버설의 사장 칼 래믈리는 다시 《웃는 남자》 영화화를 추진하여 유니버설의 차기 고딕 영화 "슈퍼 프로덕션"으로 기획했다.
래믈리는 이 프로젝트를 위해 독일 출신 망명자 두 명을 기용했다. 감독으로는 파울 레니가 선정되었는데, 그는 국제적으로 호평받은 《밀랍 인형》 이후 유니버설에 고용되었고 이미 《고양이와 카나리아》를 통해 능력을 입증한 상태였다. 주연 그윈플레인 역에는 당초 캐스팅되었던 채니 대신 동료 독일인 콘라트 파이트가 발탁되었다. 파이트는 《칼리가리 박사의 밀실》의 체자레 역으로 유명했으며, 레니 감독과 여러 독일 영화에서 함께 작업한 경험이 있었다. 여주인공 데아 역에는 《오페라의 유령》에서 채니의 상대역이었던 미국 배우 메리 필빈이 캐스팅되었다.
레니 감독에게는 숙련된 제작진이 배정되었다. 세트 디자인은 찰스 D. 홀이 맡았는데, 그는 《오페라의 유령》의 세트 각색과 《고양이와 카나리아》에서 레니와 협업한 경력이 있었다. 그윈플레인의 독특한 외모를 만드는 분장은 1926년 유니버설의 수석 분장사가 된 잭 피어스가 담당했다.
유니버설은 《웃는 남자》 제작에 당시 미국 영화로서는 상당한 금액인 100만달러 이상을 투자했다.[4]
4. 2. 감독 및 배우
유니버설 픽처스는 빅토르 위고의 소설 《노트르담의 꼽추》를 각색한 1923년 영화가 성공하자, 주연 배우였던 론 채니를 내세워 또 다른 위고 소설 기반의 영화를 만들고자 했다. 처음에는 《오페라의 유령》 각색이 제안되었으나 경영진에게 거부당했고, 대신 위고의 소설 《웃는 남자》를 영화화하는 방안이 채니에게 제안되었다. 하지만 유니버설이 프랑스 스튜디오 소시에테 제네랄 데 필름으로부터 원작의 영화 권리를 확보하는 데 실패하면서 채니의 출연은 무산되었다. 채니는 계약을 수정하여 《웃는 남자》 대신 다른 영화를 선택할 수 있게 되었고, 그 결과 1925년 영화 《오페라의 유령》에 출연하게 되었다.
《오페라의 유령》이 큰 성공을 거두자, 유니버설의 사장 칼 래믈리는 다시 《웃는 남자》의 영화화를 추진했다. 래믈리는 이 프로젝트를 위해 독일 출신의 두 인물을 영입했다. 감독으로는 국제적으로 호평받은 《밀랍 인형》을 연출했으며, 이미 유니버설에서 《고양이와 카나리아》를 통해 능력을 입증한 파울 레니를 발탁했다.
원래 론 채니가 맡을 예정이었던 주인공 그윈플레인 역에는 레니 감독과 마찬가지로 독일 출신인 배우 콘라트 파이트가 캐스팅되었다. 파이트는 《칼리가리 박사의 밀실》에서 체자레 역으로 잘 알려져 있었으며, 《밀랍 인형》을 비롯한 여러 독일 영화에서 레니 감독과 함께 작업한 경험이 있었다. 여주인공 데아 역에는 《오페라의 유령》에서 론 채니의 상대역인 크리스틴 다에를 연기했던 미국 배우 메리 필빈이 다시 캐스팅되었다.
레니 감독은 숙련된 영화 제작진의 지원을 받았다. 세트 디자인은 《오페라의 유령》과 《고양이와 카나리아》 작업에 참여했던 찰스 D. 홀이 맡았고, 그윈플레인의 독특한 외모를 만드는 분장은 1926년부터 유니버설의 수석 분장사가 된 잭 피어스가 담당했다. 그윈플레인이 귀족원에 소개되는 장면 촬영 중, 엑스트라들이 파이트의 연기에 감동하여 박수와 환호를 보냈다는 일화도 있다.[3] 유니버설은 이 영화에 당시 미국 영화로서는 매우 높은 예산인 100만달러 이상을 투자했다.[4][20]
4. 3. 촬영 및 미술
미술 감독은 찰스 D. 홀이 맡았으며, 그는 파울 레니 감독과 함께 《고양이와 카나리아》에서 작업한 경험이 있었다. 주인공 그윈플레인의 인상적인 메이크업은 잭 피어스가 담당했다.
4. 4. 음악 및 음향 효과
무성 영화 상영 시에는 일반적으로 극장에서 피아노, 오케스트라, 포토플레이어, 또는 극장 오르간 등으로 음악 반주를 제공했다. 1920년대 후반에는 주요 영화사들이 녹음된 음악을 영화와 동기화하여 제공하는 방식으로 전환하기 시작했다.
《웃는 남자》는 처음에는 무성 영화로 개봉했으나, 초기 상영의 성공에 힘입어 잠시 상영을 중단하고 무비톤의 사운드 온 필름 방식을 사용하여 동기화된 음악과 음향 효과, 그리고 주제가를 추가하여 재개봉했다. 레니 감독은 이 영화에서 공포 영화에 흔히 쓰이는 비명이나 삐걱거리는 소리 대신, 영화의 분위기를 더욱 고조시키는 효과적인 음향을 선택했다 (그는 후에 유작이 된 《The Last Warning》에서는 이러한 소리를 사용했다).
영화의 주제가 "When Love Comes Stealing"은 에르뇌 라페가 작곡하고 월터 허쉬와 루 폴락이 작사했다. 이 곡은 원래 라페가 더글러스 페어뱅크스 주연의 1922년 영화 로빈 후드를 위해 작곡했던 기악곡에 가사를 붙인 것이다. 이 노래는 1924년 3월 4일 테너 루이스 제임스에 의해 처음 녹음되었으며(빅터 19326-A, 어쿠스틱 방식), 영화의 주제가로 사용되면서 1928년 초 다시 큰 인기를 얻었다. 이는 작곡가 라페와 작사가 폴락이 이전에 영화 《영광의 대가》와 《제7의 천국》의 주제가 "샤르메인"과 "다이앤"으로 성공을 거둔 것에도 영향을 받았다. 1928년 2월부터 10월 사이에는 에디슨, 빅터, 콜럼비아, 브런즈윅 등 여러 레이블에서 다양한 전기 녹음 버전이 발표되었다. 여기에는 밥 해링(리젠트 클럽 오케스트라), 너새니얼 쉴크렛(더 트루바두어스), 조 그린(딕시 마림바 플레이어) 및 잭 스틸먼, 허먼 케닌, 지미 맥휴 등이 이끄는 오케스트라 버전이 포함되었고, 제임스 멜튼이나 해럴드 스크래피 램버트 같은 테너 가수들의 보컬 레코드도 발매되었다.
주제가 외에도 영화에는 윌리엄 악스트, 샘 페리, 에르뇌 라페의 곡과 구스타프 보르크(Gustav Borch)의 곡이 사용되었는데, 보르크의 곡 일부는 후에 1932년 영화 《공포의 성》에서 재사용되기도 했다.
2019년 6월 4일에는 새로운 4K 복원판이 블루레이 및 DVD로 출시되었으며, 여기에는 버클리 음악 대학 무성 영화 오케스트라가 연주한 오리지널 스코어가 포함되었다.[6] 또한 이 영화는 2020년 8월 17일에 마스터스 오브 시네마에 의해 복원판이 출시되기도 했다.
5. 평가 및 영향
개봉 초기 《웃는 남자》에 대한 평가는 엇갈렸다. 일부 비평가들은 영화의 어두운 주제에 거부감을 보였고, 다른 이들은 독일풍의 세트 디자인이 17세기 잉글랜드의 분위기를 제대로 살리지 못한다고 비판했다. 폴 로타는 특히 비판적이었는데, 1930년 저서 ''지금까지의 영화''(The Film Till Now)에서 이 영화를 "영화 기법의 조롱"이라 폄하하며 감독 파울 레니가 "느슨하고, 멍청하며, 부주의해졌고, 장식, 영화, 예술성을 모두 잃었다"고 혹평했다. 반면 ''뉴욕 타임스''는 "끔찍하지만 흥미로우며, 잘생긴 남자 주인공이 없는 몇 안 되는 작품 중 하나"라며 다소 긍정적인 평가를 내렸다.[7]
시간이 지나면서 영화는 재평가되었고, 현재는 무성 영화 시대의 독일 표현주의 영화를 대표하는 걸작 중 하나로 인정받는다. 영화 평론가 로저 이버트는 이 영화를 자신의 위대한 영화 목록에 포함시키고 별 4개 만점을 부여하며 "독일 무성 표현주의의 마지막 보물 중 하나"라고 극찬했고, 레니 감독의 "시각적 스타일의 완벽한 숙련도"를 높이 평가했다.[8][18] 레너드 말틴 역시 "눈부시다"라고 높이 평가했다.[21] ''로스앤젤레스 타임스''의 케빈 토마스 역시 "사운드 대신 무성 매체가 필요한 종류의 로맨틱 모험"이라며 극찬했고, 레니 감독의 "과감한 표현주의 스타일이 격동적인 이야기를 진정으로 감동적인 경험으로 끌어올린다"고 평가했다.[9] ''슬랜트 매거진''의 에릭 헨더슨은 별 4개 중 3.5개를 주며 이 영화가 유니버설 스튜디오의 고딕 호러 영화 수준을 한 단계 끌어올렸다고 평가했다.[10] ''타임 아웃''은 배우 콘라트 파이트의 섬세한 연기와 레니 감독의 강력한 연출이 어우러진 "표현주의적 세부 묘사의 향연"이라 평했으며,[11] ''시카고 리더''는 이 영화가 레니 감독의 극적, 회화적 재능을 잘 보여주며 주인공 그윈플레인과 데아의 사랑 이야기가 "진실하고 호화로운 로맨스 감각"을 선사한다고 보았다.[12] ''리틀 화이트 라이스''는 영화가 공포보다는 "감상적인 로맨스와 정치 풍자"에 가깝다고 분석하며, 얼굴 표정이 제한된 상황에서도 다양한 감정을 표현해낸 파이트의 연기력을 칭찬했다.[13] 영화 평점 사이트 로튼 토마토에서는 20개의 평론가 리뷰를 바탕으로 100%의 신선도 지수를 기록했으며, 평균 평점은 10점 만점에 8.4점이다. 사이트의 비평가 총평은 "뛰어난 창의적 정신의 만남인 ''웃는 남자''는 감독 파울 레니와 주연 콘라트 파이트의 재능을 보여주는 훌륭한 쇼케이스 역할을 한다"이다.[14]
《웃는 남자》는 이후 유니버설 호러 영화들에 큰 영향을 미쳤다. 특히 그윈플레인의 독특한 외형을 창조한 분장 감독 잭 피어스와 표현주의적인 세트를 디자인한 미술 감독 찰스 D. 홀은 이후 《프랑켄슈타인》, 《드라큘라》, 《울프맨》 등 여러 유니버설 고딕 호러 영화에 참여하며 그 시각적 스타일을 확립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다.
5. 1. 조커의 모티브

DC 코믹스의 유명 캐릭터이자 배트맨의 숙적인 조커는 영화 《웃는 남자》 속 그윈플레인의 모습에서 외형적 영감을 받았다. 1940년 조커를 창작한 빌 핑거, 밥 케인, 제리 로빈슨은 각자의 기여도에 대해서는 의견이 달랐지만, 조커 특유의 과장된 미소가 영화 속 그윈플레인을 연기한 배우 콘라트 파이트의 모습(특히 스틸 사진)에서 영향을 받았다는 점에는 모두 동의했다.
이러한 영향 관계는 후대의 관련 작품들에서도 찾아볼 수 있다. 배트맨과 조커의 첫 만남을 다룬 2005년 그래픽 노블은 1928년 영화에 대한 경의를 표하며 ''Batman: The Man Who Laughs''라는 제목으로 출판되었다. 또한, 적을 죽인 뒤 조커와 유사하게 변해버린 대체 현실의 배트맨 캐릭터인 웃는 배트맨 역시 이 영화와의 연관성을 보여준다. 애니메이션 시리즈 저스티스 리그의 "와일드 카드" 에피소드에서는 조커가 '그윈플레인 엔터테인먼트 컴퍼니'라는 이름의 TV 제작사를 운영하는 것으로 묘사되기도 했다.
6. 한국어 더빙
현재까지 한국어 더빙판은 존재하지 않는다.
7. 기타
크리스토퍼 리나 커크 더글러스와 같은 배우들이 가상의 리메이크에서 그윈플레인 역을 맡는 것에 관심을 표명하기도 했지만, 유성 영화 시대에 미국에서 이 영화를 각색한 작품은 나오지 않았다. 그러나 유럽 감독들이 연출한 세 편의 각색 영화가 있다.
- 1966년: 이탈리아 감독 세르지오 코르부치가 연출한 ''웃는 남자''(L'Uomo che rideit)가 제작되었다. 이 영화는 미국에서는 ''웃는 남자''(The Man Who Laughs), 프랑스에서는 ''보르자 가문의 사기''(L'Imposture des Borgia프랑스어)라는 제목으로 개봉했다. 원작의 줄거리와 배경을 크게 변경하여 사건 무대를 이탈리아로 옮기고, 제임스 2세의 궁정을 보르자 가문의 궁정으로 바꾸었다.
- 1971년: 장 케르슈브론 감독이 프랑스에서 3부작 텔레비전 영화 ''웃는 남자''(L'Homme qui rit프랑스어)를 연출했다. 필립 부클레가 그윈플레인 역을, 델핀 데제유가 데아 역을 맡았으며, 필리프 클레이가 바킬페드로 역으로 출연했다.
- 2012년: 장피에르 아메리스 감독이 연출한 또 다른 프랑스어 버전 영화 ''웃는 남자''(L'Homme qui rit프랑스어)가 개봉했다. 이 영화에는 마르크-앙드레 그롱댕이 그윈플레인 역으로, 크리스타 테레가 데아 역으로 출연했으며, 제라르 드파르디외가 우르수스 역을 맡았다.
한편, 호러 영화 역사가인 휠러 윈스턴 딕슨은 끔찍한 미소를 가진 캐릭터가 등장하는 1961년 영화 ''미스터 사도니커스''를 "어떤 방식으로든 ''웃는 남자''를 리메이크한 작품"이라고 평가했다.[15] 그러나 해당 영화의 감독 윌리엄 캐슬은 이 영화가 레이 러셀의 단편 소설 "사도니커스"(원래 ''플레이보이''에 실림)를 각색한 것이라고 밝혔다.
참조
[1]
웹사이트
Public Domain Day 2024 | Duke University School of Law
https://web.law.duke[...]
[2]
서적
American Silent Horror, Science Fiction and Fantasy Feature Films
https://books.google[...]
McFarland & Company
[3]
간행물
Gossip of All the Studios
Photoplay
1928-02
[4]
학술지
And That's That
https://archive.org/[...]
The Film Daily
2019-10-25
[5]
웹사이트
History of Film
https://www.britanni[...]
Encyclopædia Britannica
2021-06-22
[6]
웹사이트
Review
https://www.blu-ray.[...]
Blu-ray.com
2019-06-20
[7]
웹사이트
The Screen; His Grim Grin
https://www.nytimes.[...]
1928-04-28
[8]
웹사이트
The Man Who Laughs
https://www.rogerebe[...]
2004-01-18
[9]
뉴스
Leni's 'Man Who Laughs' a Silent, Stirring Experience
https://www.latimes.[...]
2021-06-22
[10]
뉴스
Review: The Man Who Laughs
https://www.slantmag[...]
2021-06-22
[11]
뉴스
The Man Who Laughs
https://www.timeout.[...]
2021-06-22
[12]
뉴스
The Man Who Laughs
https://www.chicagor[...]
2021-06-22
[13]
뉴스
How The Man Who Laughs redefined early horror cinema
https://lwlies.com/a[...]
2021-06-22
[14]
웹사이트
The Man Who Laughs (1928)
https://www.rottento[...]
2021-06-22
[15]
서적
A History of Horror
https://books.google[...]
Rutgers University Press
[16]
뉴스
朝日新聞
朝日新聞
1929-01-17
[17]
웹사이트
PopMatters: The Man Who Laughs
popmatters.com
2007-01-11
[18]
웹사이트
Roger Ebert: Great Movies: The Man Who Laughs (1928)
rogerebert.com
2007-01-11
[19]
웹사이트
フランス八重奏団来日!『Beyond Cinema-無声映画の名作と室内楽のマリアージュ』のご案内
http://www.parisclub[...]
日仏経済交流会
[20]
학술지
And That's That
https://archive.org/[...]
The Film Daily
2019-10-25
[21]
서적
Leonard Maltin's Classic Movie Guide
https://books.google[...]
Plume
2010
[22]
서적
상식으로 시작하는 한 뼘 인문학
북클라우드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